유럽 엘리트 유소년 축구의 국가별 훈련 방식
유럽 엘리트 유소년 축구의 코칭 세션 중 의사결정 훈련(André Roca & Paul R. Ford)
요약 (ABSTRACT)
본 연구는 잉글랜드, 독일, 포르투갈, 스페인의 프로 1부 리그 유소년 아카데미에 소속된 53명의 유소년 축구 코치들이 사용하는 훈련 활동을 조사했습니다. 이는 엘리트 유소년 축구에서 코치가 주도하는 훈련의 미세구조를 여러 국가에 걸쳐 탐색한 최초의 연구입니다. 12세 이하(U-12)부터 16세 이하(U-16) 연령대의 83개 훈련 세션을 현장에서 직접 수집했습니다.
수집된 세션들은 '비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예: 상대방 없는 기술 또는 전술 훈련, 체력 훈련)과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예: 소규모 게임, 상대방 있는 기술 훈련)에 할애된 시간 비율로 분석되었습니다. 후자인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은 경기 지능 기술을 실제 경기로 이전하는 데 더 우월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분석 결과, '비적극적 의사결정' 활동(평균 20%)이나 활동 간 전환 시간(평균 17%)에 비해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더 많은 시간(평균 62%)이 할애되었습니다. 포르투갈과 스페인 선수들은 잉글랜드와 독일 선수들보다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반면, 잉글랜드 선수들은 상대방 없는 기술 기반 드릴에, 독일 선수들은 공 없이 경기 체력적인 측면을 향상시키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사용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단일 국가에서 코치 주도 유소년 축구 훈련을 평가한 이전 연구를 확장하여, 유럽 국가들 간 훈련 활동의 차이점을 보여줍니다.
서론 (Introduction)
운동 학습 연구자들은 훈련 중 기술 습득에 있어 훈련 구조의 중요성을 평가해왔습니다. 이는 코치와 지도자들이 전문적인 경기력의 학습과 습득을 가장 잘 촉진하기 위해 훈련 환경과 활동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다룹니다. 숙련된 축구 선수를 그렇지 않은 선수와 일관되게 구별하는 핵심적인 경기력 속성은 실제 경기 중 압박 상황에서 예측하고 효과적인 결정을 내리는 능력입니다.
연구 증거에 따르면, 이러한 '경기 지능(game intelligence)' 기술은 주로 훈련이 실제 경쟁과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가질 때 습득됩니다. 즉, 훈련 조건은 선수에게 경쟁 환경에서 요구되는 것과 동일한 처리 요구(예: 시각 탐색, 인식, 의사결정)를 참여시킬 때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칭 훈련의 주된 목표는 경쟁 형식의 요구를 시뮬레이션하는 대표성 있는 훈련 환경 설계를 통해 선수들이 경쟁에서 향상된 경기력으로 이전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것입니다.
젊은 선수들을 코칭하는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운동 기술 습득을 위해 상대방 없이 단일 기술을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학습자의 경기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선수들을 위한 적극적인 의사결정이 없는 이러한 드릴 형태의 활동은 훈련 중에는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지만, 경기 지능 기술을 훈련에서 경쟁으로 긍정적으로 이전시킬 가능성은 낮으며, 장기적으로는 운동 학습에 인위적인 제약을 가하여 일시적이고 부적절하며 비효율적인 움직임 해결책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제약 조건 중심 접근법(constraints-led approach)'은 효과적인 기술 습득과 이전을 위한 최적의 학습 환경을 설계하고 만드는 데 관련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이 접근법에 따르면, 훈련에서 중요한 것은 학습자와 훈련 환경에 의해 부과된 특정 제약 조건 간의 상호작용 관계입니다. 기술 습득의 이전을 증가시키기 위해 훈련의 제약 조건은 경쟁 조건(즉, 실제 경기)을 적절히 복제해야 합니다. 코치들이 이러한 이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소규모 게임의 규칙을 조작하는 것과 같이 적극적인 의사결정 활동을 사용하여 훈련의 제약 조건을 조작하는 것입니다
연구 방법 (Methods)
참가자 (Participants): 유럽 4개국(잉글랜드, 독일, 포르투갈, 스페인)의 16개 프로 1부 리그 유소년 아카데미에서 12세 이하부터 16세 이하 연령대의 남자 선수들을 지도하는 53명의 축구 코치가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절차 (Procedure): 각 클럽의 아카데미 훈련장에서 총 83개의 훈련 세션을 직접 관찰하고 평가했습니다. 간단한 수기 표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 코칭 세션의 시간 사용 데이터를 현장에서 수집했습니다.
분류 체계 (Categorisation system): 훈련 활동은 '적극적 의사결정'과 '비적극적 의사결정'이라는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되었습니다.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 소그룹이나 팀으로 연습하며, 선수들이 실제 축구 경기와 같거나 유사한 적극적인 의사결정을 포함하는 활동입니다. (예: 상대방이 있는 기술 훈련, 소규모 게임, 점유율 게임 등) .
비적극적 의사결정 활동: 선수들을 위한 적극적인 의사결정을 포함하지 않는 활동입니다. (예: 상대방 없는 기술 훈련, 체력 훈련 등) .
결과 (Results)
축구 훈련 세션의 평균 지속 시간은 88±6분이었습니다. 국가별 평균 세션 지속 시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소요된 시간 비율은 62±9%였고, '비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은 20±8%, 나머지 시간은 전환(17±3%)에 사용되었습니다.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소요된 시간 비율에는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사후 검정 결과, 포르투갈(68±9%)과 스페인(67±10%) 유소년 팀은 잉글랜드(56±8%)와 독일(57±10%) 팀보다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반대로, 잉글랜드(26±8%)와 독일(26±9%) 유소년 팀은 포르투갈(14±8%)과 스페인(15±9%) 팀에 비해 '비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더 높은 비율의 시간을 사용했습니다.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 세부 분석: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엘리트 유소년 팀은 잉글랜드와 독일 팀에 비해 '소규모 및 조건부 게임'에 5%에서 13% 더 많은 시간을 사용했습니다.
비적극적 의사결정 활동 세부 분석: 독일 팀은 다른 세 국가에 비해 '체력' 활동에 10%에서 14% 더 많은 시간을 사용했습니다. 잉글랜드 팀은 다른 세 국가에 비해 '기술' 훈련에 11%에서 16%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논의 (Discussion)
본 연구는 유럽 내 여러 국가 및 맥락에서 코치가 주도하는 유소년 축구 훈련 구조를 비교 평가한 최초의 시도입니다.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소요된 시간(평균 62%)이 '비적극적 의사결정' 활동보다 더 컸으며, 이는 유소년 축구 훈련에서 비적극적 활동보다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이 더 많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합니다.
국가 간에는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의 상대적인 양에서 차이가 있었습니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유소년 선수들은 잉글랜드와 독일 선수들보다 훈련 세션 시간의 10%에서 12%를 더 많이 '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선수들에게 지각, 인지, 운동 기술을 실제 경기와 유사한 조건 하에서 발전시킬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반면, 잉글랜드와 독일의 유소년 축구 선수들은 포르투갈과 스페인 유소년 팀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비적극적 의사결정' 활동에 참여했으며, 이는 기술 습득이 실제 경기로 이전되는 것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잉글랜드 선수들은 다른 세 국가 선수들에 비해 고립된 기술 훈련에 더 높은 비율의 시간을 보냈고 , 독일 선수들은 체력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국가에서 활동 간 '전환'에 소요된 시간은 전체 세션 시간의 거의 5분의 1에 달했습니다. 향후 코치들이 전환 시간을 줄이고 더 빠르게 진행한다면, 젊은 선수들의 학습 활동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실용적 시사점 (Practical implications)
코치들은 젊은 축구 선수들과의 훈련 세션 동안 더 대표성 있는(실제 경기와 유사한) 축구 관련 의사결정 활동(예: 규칙을 변형한 게임)을 더 많이 주도해야 합니다.
또한, 선수들의 학습 활동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향후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 분야의 연구 초점과 일관되게, 젊은 선수들을 '적극적 의사결정'을 포함하는 훈련 활동에 더 많이 노출시키는 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술 습득과 학습이 실제 경기로 이전되는 것을 촉진합니다.